마광남 청해진선박연구소 소장
마광남 청해진선박연구소 소장

  오월 초 닷 세 날이 단오 날이다.
  옛날에는 단오제라 하여 차례를 지낸 때도 있었다. 단오를 수릿날, 천중절(天中節), 단양(端陽), 오월절이라고도 한다. 단오는 초오(初五)의 뜻으로 5월의 첫째 말(午)의 날을 의미한다.

  음력 5월은 오월(午月)에 해당하며 기수(奇數,홀수)의 달과 날이 같은 수로 겹치는 것을 중요시 한데서 명절로 정하였다고 한다.  즉 설(1.1), 삼짓날(3.3), 칠석(7.7), 중구(9.9)등이 있는데 이러한 속설은 길수(吉數)로 여기는 기수민속(奇數民俗)이라 할 수 있다.

  단오의 유래를 보면 중국 초나라 회왕(懷王) 때에 비롯되었다고 전한다. 굴원(屈原)이라는 신하가 간신들의 모함에 자신의 지조를 보이기 위하여 멱라수(汨羅水)에 투신자살 하였는데 그날이 5월 5일이다.

  그 후 굴원을 위하여 제사를 지내는데 대나무 통에 쌀을 넣고 소태나무 잎으로 감아 물속에 던지던 풍습이 변하여 대나무 잎으로 싸서 찐 떡을 먹는 풍습이 되었고 굴원을 작은 배로 구한다는 뜻의 놀이로 용선경도(龍船競渡) 놀이가 전해지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것이 우리나라에 전해 졌다고 하는 설과 중국 한대(漢代)의 문헌에는 비가 많이 오는 계절로 접어드는 시기라 질병의 유행이 쉽고 여러 가지 액(厄)을 막아야하는 나쁜 달로 보고 생겼다는 설도 있으며 이날에는 쑥으로 만든 호랑이를 문에다 걸었고 창포주 또는 웅황주(雄黃酒)를 마셨다고 한다.

  또한 단오부(端午符,부적)라고 하여 불길한 것을 제거 한다는 뜻으로 붉은 글씨로 써서 문설주에 붙이기도 하였는데 이것을 천중부적(天中符籍)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는 고대 마한의 습속을 적은 위지(魏志) 한전(韓傳)에 의하면 파종이 끝난 오월에 신에게 제사를 지낸데서 유래되었다고도 한다. 고려가요 동동(動動)에는 단오를 수릿날이라 했는데 수리란 상(上),고(高),신(神)등을 의미하며 신일(神日), 상일(上日)이란 뜻을 지닌다.

  이날 여자들은 단오장(端午粧,단오비음)이라 하여 나쁜 귀신을 쫓는다는 뜻으로 창포 삶은 물로 머리를 감고 얼굴도 씻으며 붉고 푸른 새 옷을 입고 창포 뿌리를 깎아 비녀를 만들고 붉은 물을 드려서 꽂았다. 남자들은 창포뿌리를 허리춤에 차고 다녔으며 단오 날 아침 이슬이 맺힌 약쑥은 배 알이에 좋고, 산모의 약, 상처 치료에 썼다.

  또한 단오 날 오시(午時)에 목욕을 하면 무병(無病)한다하여 단오 물맞이를 하고 수리취떡과 쑥떡, 망개떡, 약초 떡을 먹었고 그네뛰기, 씨름, 탈춤, 사자춤, 가면극 등을 즐겼다고 하며 고려시대에는 9대 명절로, 조선시대에는 4대명절로 쳤다고 한다.

  기록들을 보면 고려 공민왕5년(1356,조선왕조실록 태조 총서) 태조가 22세 되던 해에 벼슬을 하였는데 고려의 풍속에 격구(擊毬) 놀이를 하였다. 이때에는 백성은 물론 기생들까지도 모두 나와 구경을 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조선왕조실록 세종 오례의에 보면 제향 전 4일에 행사(行事)할 집사관(蓻事官)이 2일 동안 산재(散齋)로써 정침(正寢)에서 유숙(留宿)하고, 1일 동안 능소(陵所)에서 치제(致齊)한다. 산재 할 적에는 일처리하기를 전과 같이 하는데, 다만 술을 함부로 마시지 아니하고, 파, 부추, 마늘을 먹지 아니하고, 조상(弔喪)과 문병하지 아니하고, 형벌을 행하지 아니하며, 형살문서(刑殺文書)에 결제하거나 서명하지 아니하고, 더러운 일에 참여하지 아니한다.

  치제 할 적에는 오직 제향(祭享)의 일만을 행한다.
  제향 전 1일에는 능사(陵司)가 소속을 거느리고 정자각(丁字閣)의 내외(內外)를 소제하고, 찬자(贊者)가 헌관의 자리를 동계(東階)의 동남쪽으로 서향하되 북쪽을 위로한다고 적고 있다. 이러한 기록으로 보면 단오절을 얼마나 중시하였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완도군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