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어·귀농·귀촌 지원책 강화, 청년일자리 창출, 정착 지원 프로그램 다각화, 외지 거주 근로자 유입, 주소 이전 독려, 출산장려 지원, 양육하기 좋은 환경 조성, 정주기반 확충 등.

이는 지방소멸 위기에 직면한 많은 자치단체들이 추진하고 있는 인구 유인책이다. 수많은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지만 실효성이 미미하거나,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저출산·고령화가 심각하고 그에 따른 인구의 자연감소, 교육과 취업기반이 약한 탓에 청년인구 유출로 인한 사회적 감소는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 농어촌지역 자치단체들의 지방소멸 위기를 불러왔다.
‘지방소멸’은 오래전부터 예견돼 왔지만 4차 산업혁명을 앞둔 현 시점에서 정책의 최우선으로 다뤄야 할 아주 긴박한 사안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많은 자치단체들이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고자 인구정책TF팀을 신설하고, 지자체 성격에 맞는 맞춤형 정책을 선보이고, 혁신적인 정책마련에 나서고 있다. 결론을 미리 말하자면 비관적이지만 딱히 해법은 없다.
“지방화!”를 수없이 외쳐왔고, 지속가능한 또는 실효성 다분한 인구정책과 사업을 추진하면서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그러나 특정 지역에서 일시적인 성과는 거둘지라도 인구감소폭을 최소화할 뿐, 인구 관련 각종 통계수치와 미래에 대한 전망은 어두운 쪽을 향하고 있다.

그렇게 지방은 소멸 위기를 맞고 있다. 그렇다고 좌절만 하고 있을 수는 없다. 희망을 찾아야 한다.
완도군이 인구정책 5개년 종합계획 보고회를 가졌다. 지방, 섬, 농어촌이 공통분모인 자치단체들의 인구정책과 사업은 엇비슷해서 천편일률적이다.
그러나 완도군은 희망을 찾은 듯하다. 바로 ‘해양치유산업’이다. 이미 선도 지자체로서 블루오션(경쟁이 없는 유망한 시장)을 눈앞에 두고 있다.
이제 지역의 사활을 걸고 모든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완도 100년의 먹거리’, ‘미래 성장 동력’이라는 수식어가 헛되지 않도록, 100년 후 세대들이 노력의 결과를 평가할 수 있도록.

저작권자 © 완도군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