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중섭 편집국장

국가적으로 직면하고 있는 저출산 고령화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이 출산 장려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출산율은 매년 하락하고 있다.

통계청 인구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3분기 기준으로 합계 출산율이 0.95명까지 떨어졌다. 합계 출산율이란 여성이 가임기간(15~49세)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뜻한다. 2018년 전체 합산해도 합계 출산율은 1.0명 이하가 유력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합계 출산율(1.68명)에 한참 못 미치는 수치다.

출생아 수도 31개월 연속 최소기록을 경신하며 심각한 저출산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10월 출생아 수는 2만6500명으로, 전년대비 1400명 줄었다. 1981년 월별 출생아 통계를 작성한 이후 최저 수준이라고 한다.

연간 출생아 수는 2017년 기준 35만7800명을 기록했다. 이 역시 1981년 이후 처음으로 40만명 이하로 떨어졌다. 1971년 102만명의 출생아 수를 기록한 것과 비교해 약 50년 만에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각 지자체 마다 저출산 고령화 현상이 겹치면서 인구감소로 이어지니 심각한 고민이 아닐 수 없다. 각 산업분야 생산성이 크게 하락하고 있으니 어찌하랴.

이러한 저출산 문제가 시대의 화두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매우 성공적인 저출산 대책으로 평가받는 것이 공공산후조리원이다. 최근 전남도가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감소 해결책으로 공공산후조리원을 늘리며 실질적인 출산·육아 지원을 위한 정책에 정성을 들이고 있는 것은 환영할 일이다.

11일 전남도는 해남 1호, 강진 2호에 이어 완도대성병원에 전남공공산후조리원 3호를 열었다. 이용료는 민간 산후조리원에 비해 저렴하고, 대성병원 내 산부인과와 소아청소년과를 연계하여 출산 전부터 출산 후까지 한 곳에서 관리가 가능한 ‘원스톱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특히 요가와 산후관리 교육, 웃음치료 등 해양치유산업과 연계한 완도만의 차별화된 프로그램도 눈길을 끈다.

한 가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공공산후조리원이 출산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크게 줄여 산모들이 출산에 대해 실질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는 환경, 즉 사회보장제도로서 잘 승화시켜야 한다는 것.

공공산후조리원이 '요람에서 무덤까지'라는 복지사회를 만드는 초석이 되길 기대한다. 아이의 탄생은 축복이다. 아이를 낳는 것이 가정과 사회의 축복이 될 수 있도록 사회보장제도 확대에 힘써야 한다. 국민이 행복해야 국가가 행복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완도군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