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중섭 편집국장

최근 전남도가 발표한 ‘2019년도 수산자원관리 시행계획’에 따르면 지난해 전남 지역 연근해 어업 생산량은 15만6천 톤을 기록했고 해를 거듭할수록 감소추세다.

1990년에는 29만7천 톤과 비교할 경우 무려 47.7%나 감소했다. 30년 사이 어업 생산량이 거의 절반가량 줄어든 것이다.

어업 생산량 감소는 전국적인 현상이지만 특히 전남지역의 감소 규모가 타지역에 비해 더욱 크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 있다. 그 원인으로는 어가 인구감소, 기후변화, 해양쓰레기 증가, 오폐수로 인한 어장오염을 꼽을 수 있겠다.

그중 폐수로 인한 어장오염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청정해야 할 해양을 오염시키는 요인 중 대표적인 것이 여과시설을 거치지 않고 무단 방류되는 오폐수다.

충분히 정화되지 않은 폐수가 바다로 흘러든다면 결과는 심각한 해양 오염이다. 청정해역은 사라지고 어족자원은 고갈상태에 이르게 된다. 어업생산량은 감소하고 어민들은 생계를 위협받는다.

폐수 무단방류에 대한 도덕성 논란은 어제오늘 일이 아닐진대 우리 지역 실태는 어떠한가. 최근 드러난 사례를 보건데, 폐수나 침전물을 제대로 처리하지 않고 공해상으로 무단 방류하는 일부 어류양식장의 행태에 인근 주민들이 분개했다. 과연 ‘청정바다’라 말할 수 있겠는가.

그동안 일부 악덕 업주들에 의한 남몰래 버려진 폐수, 여과시설을 거치지 않고 바다로 무단 방류된 폐수량이 얼마나 많은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그렇잖아도 심야에 몰래 폐수를 방류하거나, 장마철에 폐수 무단 방류에 대한 도덕성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 터.

이즈음 “행정기관의 지속적인 단속과 감시, 예찰이 필요하다”고 언성을 높일만도 하다. 그러나 행정기관의 단속과 감시는 믿을 수 없다. 아무리 단속과 감시를 강화한다 하더라도 폐수를 남몰래 무단 방류하는 악덕 업주를 적발하기란 어렵기 때문이다. 행정기관의 단속에는 그만큼 한계가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사업주와 주민들의 청정바다와 환경에 대한 의식의 대전환이다. 우리 모두의 의식 전환 없이는 청정바다를 기대하기 어렵다. 특히 사업주는 스스로 청정바다를 지키기 위해 사업장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겠다.

환경은 한 번 훼손되면 되돌리는 데에는 장구한 세월과 엄청난 예산이 소요됨을 알아야 한다. 바다는 인류 미래의 식량 창고다. 오염된 바다를 후손에게 물려줄 수는 없다.

청정바다는 모두가 함께 지키고 보전해 나가야 한다. 환경 지킴이는 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저작권자 © 완도군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